흔히 요즘 술의 도수와 퍼센트(%)를 대부분 혼용해서 사용한다.
대다수 사람들이 같은 개념 혹은 같은 뜻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도수와 퍼센트는 완전히 다르다.
퍼센트(%)는 물과 에틸알콜의 합에서 에틸알콜이 차지하는 비중을
100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25%라고 한다면, 물 75%에 알콜이 25% 들어 있는 것으로
전체 100중에서 알콜이25가 있다는 뜻이고
물 50%와 알콜 50%가 들어있다면, 당연히 50%가 되는 것이다.
도수의 개념은 퍼센트의 개념과 조금 다르다.
에틸알콜 이외의 다른 이물질에 대한 알콜의 비중을 비율로 나타내어
100분율 단위에 도수를 붙인 것이다.
앞에 언급하여 말한 25%의 비교해보면
알콜이외의 다른 이물질이 75%이며 알콜은 25%라면 이것의 비율은 75:25 즉 3:1이 된다.
즉, 물에 대한 알콜의 비율은 0.3333....... 이되며, 이것을 도수로 환산하면 100을 곱하여,
33.3..이라는 도수가 나오게된다.
예전에 있었던 25% 짜리 소주를 33도 라고 표현하였다.
예를 더 들어본다면 50%의 소주는 물과 알콜의 비율이 50:50으로 1:1 이라면 도수로 따지면
100도가 되는 것이다.
러시아 술, 보드카 중에서 가장 도수가 높은 것은 400도 짜리가 있는데
퍼센트(%)로는 도저히 답이 나오지 않는 수치가 된다.
이것은 물 1에 대한 알콜이 4... 즉 물보다 알콜 4배가 더 들어 있다는 개념이 된다.
즉 물1:알콜4 라는 것이다.
이것을 퍼센트로 환산을 하게 되면, 전체 용량(물+알콜=5) 중에서 알콜(4)이 차지하는 백분율 4/5 * 100 = 80% 즉 80%짜리 술이 되는 것이다.
300도 짜리 술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75%짜리 술이 된다.
언제부터인가 모르게 사람들이 도수와 퍼센트가 같다고 생각하여 혼용하고 있다.
도수와 퍼센트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술병에 표시된 퍼센트(%)를 도수 인냥 그렇게 부르고 있다.
출처: 네이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 '레프트 4 데드 2', 27일 오전 3시까지 무료 배포 '대박' (0) | 2013.12.26 |
---|---|
위스키의 종류, 분류 (0) | 2013.12.20 |
미세먼지 예보 경보 정보를(서울시) sms로 받아보자! (0) | 2013.12.16 |
철도 기관사가 알려주는, <철도 민영화>의 진짜 비밀 (0) | 2013.12.16 |
택시에 뭘 두고 내렸을때 -<택시 카드 결제 했을 때의 유용한 정보> (0) | 201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