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신의한수(2014)

 


신의 한 수 (2014)

7.1
감독
조범구
출연
정우성, 이범수, 안성기, 김인권, 이시영
정보
범죄, 액션 | 한국 | 118 분 | 2014-07-03
다운로드 글쓴이 평점  

 

 

 

 

 

 

 

조범구 감독의 신의한수는 도박 바둑과 액션을 잘 버무린 영화라

 

제2의 타짜라는 기대를 받았는데 어떤 영화인지 이야기해보자.

 

 

바둑의 정신적인 영역의 다툼과 액션의 육체적 다툼은 사활을 걸고 하는것과 마찬가지다.


바둑을 전혀 모르는 관객도 부담없이 재미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시나리오 인 것 같다.

 

 

 

 

 

일반 액션 영화와는 다른 스토리와 상황을 담고 있는 '신의한수'

 

살수역에 이범수는 겉으로 보이는 모습은

 

젠틀한 정장 차림과 점잖아 보이긴 하지만 

 

차분하고 냉렬한, 악인 역활을 잘 살려내고있다.

 

 

여기에 국민배우 안성기라는 배우를 등장,  맹인 연기를 보려주는데

 

연기 자체가 자연스러워서 좋은 평가를 받고있고,

 

 

 

 

김인권이라는 배우는 어둡고 암울한 복수극을 이 영화에서는 밝게 이끌어주는

 

 감초 역활을 하면서 액션에만 치중 할 수있는 영화를

 

 관객들이 쉬어 갈 수 있는 역활을 하고있다.

 

또한 여기서 바둑 내기꾼 중에 비중은 약하지만 이시영이라는 여배우도

 

매력적으로 나오고 그밖에 안일강,최진혁등 캐스팅 자체만 보더라도

 

괜찮은 조합으로 느껴진다.

 

바둑영화라고 해서 별다른 생각없이 보았는데

 

막상 바둑영화라기 보다는 바둑 범죄 액션이라고 봐야 할 듯싶다.


 

 

 

 

 

 

정우성 연기도 괜찮았지만 영화를 보고 나오자 마자 생각드는건 

 

액션장면이 생각나는걸 보니 아무래도 액션이 시원시원한거 같아서 생각이 드나보다.

 

 

 

 

하지만 너무 단순하게 무협지를 보는듯한 장면 전개들이 대부분이고

 

  스토리상 거슬리는 점은 감옥에서 바둑을 둔 사람이 정우성에게 안성기를

 

찾아가라고 하지만 해답은 없고 떡밥만 던지고 있고 이유도 나오지않는다.


그냥  넘어가는 부분이고,  갑자기 급격하게 짜여진것처럼

 

이시영과의 러브라인도 급작스럽다.

 

아마 이런 부재들과 감독의 연출 부족등이 아마 타짜를 앞설수 없는 이유인 것 같다.

 

또한 캐릭터들이 어디서 많이 본듯한 조합이거나 조금 식상한 감이 든다.

 

용두사미같은 느낌은 들지만 눈은 즐겁다고 할까?

 

현재 '신의한수' 개봉4일만에 100만돌파라는 흥행독주를 이어갔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신의 한 수’는 지난 8일

 

전국 739개 스크린에서 15만2014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이틀 연속 일일

 

박스오피스 1위를 지켰다.

 

반면 ‘트랜스포머4’는 957개 스크린에서 8만2495명의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

 

 ‘신의 한 수’는 이날까지 누적관객 149만0559명을 나타냈으며,

 

일주일 앞서 개봉한 ‘트랜스포머4’는 총 관객 430만 9585명을 기록 중이다.

 

앞으로 계속 흥행질주 할지 두고봐야 할듯하다.

 

 

By Dozil

 

-------------------------------------------------------------

 

 

영화 '타짜'를 벤치마킹한 영화

 

겉은 바둑, 속은 조폭 영화

 

아주 많이 봐왔던 클리셰로 도배된 영화

 

 

하지만 이 영화는 재미있다.

 

 

 

우선 영화를 보는 내내 '타짜'와 오버랩되어 보인다.

 

나오는 배우들 면면이 '타짜'의 그것과 비슷하고

 

돌아가는 상황 또한 '타짜'와 비슷하다.

 

심지어 화면의 자막 까지 비슷하다.

 

(타짜에선 타짜의 원칙을 보여주고, 신의 한수에선 바둑용어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영화가 왜 재미있는 것일까?

 

우선 배우들의 밸런스가 적절하다는 것이다.

 

보통 이런 액션 활극은 대부분 주인공과 그 반대각에 있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각자의 역할을 아주 적절한 시간과 역할 배분으로

주인공, 악당 이런 일차원적인 초점을 탈피해

누진 다초점 랜즈같이 나와있는 모든 배역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 준다.

 

하지만 이런 연출은 자칫 잘못하면 어중이 떠중이가 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최근에 상영한 영화 '역린'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역린'이 망한 가장 큰 이유는 연기력도 화면도 아니다.

 

바로 너무 많은 인물을 설명하다보니 영화적인 구성, 초점이 제대로 맞춰져있지 않아서이다.

결국은 감독의 욕심이 영화를 어중이 떠중이, 중구난방식으로 연출한 결과를 초래했다.

(드라마 감독이다 보니 영화 호흡을 제대로 맞추지 못했다.

마라토너에게 100m를 뛰게 만든 꼴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신의 한수'는 다르다.

정우성과 김범수에 초점을 맞춰 놓고 다른 캐릭터의 초점도 같이 맞춘다.

그것도 아주 시의 적절하게 밸런스 맞췄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각자의 인물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한 사건 전개를 통해

영화를 보는 관객을 들었다 놨다 한다.

 

 

물론 이 영화에 단점도 많다.

가장 큰 단점은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타짜'를 넘을 수 없다는 점이다.

 

'타짜'를 벤치마킹 한 것은 좋지만 '타짜'이상의 연출은 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타짜'라는 영화의 감성과 하드보일드한 부분은

'신의 한수'에선 볼 수 없었다.

 

우선 김인권의 역할이 '타짜'의 유해진의 역할이라 할 수 있는데

김인권은 유해진에 비해 너무 과한 설정이다.

그뿐만 아니라 정우성도 조승우에 비해서 '탈'이 좋지 않다.

(정우성은 너무 리듬이 강강강이다. 조승우가 타짜에서 보여주는 리듬은 그루브 잘탄 힙합같다.)

 

이렇듯 전체적인 인물들이 너무 과장되어 있다는 것이 이 영화의 단점아닌 단점일 수 있겠다.

(역설적인 것은 이런 단점이 이 영화를 오히려 장점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더 많을 수 도 있다.)

 

게다가 이시영과 국민배우 안성기의 존재감이 생각보다 작아 아쉬움이 남는다.

이시영에게 김혜수의 연기를 바라는 것은 아직은 무리일 것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안성기의 분량은 조금 아쉬운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영화를 과감히 추천하고 싶다.

 

이 영화는 그저 뻔한 깡패 영화 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바둑이라는 소재가 주는 재미를 무시하지는 못한다.

(화투와는 다른 바둑만의 미묘한 긴장감을 잘 다루었다.)

 

게다가 연기 고수들의 개성 강한 연기는 이 영화를 보는 재미를 보장한다.

 

 

배우, 연기, 연출 삼박자가 잘 어우러져

영화를 보는 관객에게 시원한 즐거움을 선사하는 영화다.

 

(범구형의 '뚝방전설'은 나름 B급 코믹으로 재밌게 봤는데 '퀵'은 용서할 수 없었다.

맛이 간 줄 알았는데 이번 영화로 그 맛을 찾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뻔한 스토리, 뻔한 전개 하지만 그것을 살려내는 배우와 연출의 힘!

 

 

 

사족: 바둑 영화를 좋아한다면 근래에 개봉한 <스톤>을 한번 보길 추천한다.

신의 한수와는 180도 다른 바둑과 인생에 이야기를 담고 있는 영화를 보게 될 것이다.

 

 

 

★★★★

 

By 신삼리술돌이

 

 

----------------------------------------------------------------------

 

 바둑은 거들뿐


바둑이란 소재를 첨가한 액션 조폭영화


영화는 바둑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MSG같은 감칠맛나는 첨가물 정도일뿐

그 이상의 역활을 하지 못한다.

 

또한 바둑을 두는 씬에는 자세한 건 생략한 체 두기만 할 뿐 왜 거기에 두고 왜 그 자리가 중요한지

공감을 사거나 이해하기에는 설명도 부족하다.

하지만 바둑이란 소재를 조금 첨가 함으로 자칫 떨어질수 있는 신섬함을 보충하고 있다

 


영화는 보통의 무협영화처럼 별볼일 없는 프로바둑기사의 성장기 같은 모습을 보여주며 

짧고 강한 감옥씬으로 그의 성장을 보여주지만.

이 역시 짧고 굵게 불필요하지 않는 씬이 없어 좋긴 하다.

 

그렇지만

왜 얼굴도 목소리도 모르는 절정의 고수가 주님을 찾아가라고 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극중 주님을 만나서도 크게 의문이 풀리지 않고

바둑이란 소재에서 주인공은 바둑실력의 성장보단 무공실력을(싸움) 연마하는것 정도 밖에 없다.

 

또한  주변 인물들의 설명과 같이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다.

그저 정우성이 다른일을 할떄 그냥 대신 일해주는 대타수준 정도로만 생각되는게 아쉽다.

이 모든 것은 정우성과 이범수를 중점으로 돌아가지만

주변인물들의 뒤섞임은.. 많이 부족한게 아닌가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작품이 신의 한수 - 사활편- 이라고 대문에 떡하니 알려주는것으로 봐선

후속작을 염두해두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며

그 부족함이  후속작에서 약간이나마 갈증 해소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


 ★★★☆


By  고르고